브랜딩과 마케팅 사이에서

덕다이버 한승우 대표 인터뷰 ① 왜 용감한 브랜드는 덕다이버와 함께 하는가?

한승우 대표가 말하는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

브랜드는 단순한 마케팅 수단이 아니다. 조직의 철학과 방향성을 설계하는 본질적인 도구다.
그리고 이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고 다룰 줄 아는 브랜딩 전문가 집단이 있다.

브랜드를 경험으로 설계하는 조직, 덕다이버(DUCKDIVER)

디자인 전략부터 브랜드 빌딩, 콘텐츠 제작, 디지털 캠페인까지.
브랜드 여정의 모든 과정설계하는 크리에이티브 솔루션을 제공하는 ‘덕다이버(DUCKDIVER)’는

단순히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데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이 조직을 이끄는 한승우 대표는 브랜드를
‘경험 설계와 태도의 총합’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에이전시의 관점을 넘어, 덕다이버는 브랜드를 통해 고객과
사회의 ‘행동’을 변화
시키고자 합니다.

그 철학과 방향에 대해 한승우 대표와 직접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눠보았습니다.


Editor. 정희선


Q. 덕다이버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브랜딩 원칙은 무엇인가요?

브랜드는 ‘하고 싶은 말’이 아니라 ‘사람들이 듣고 싶은 말’이어야 합니다.

저희는 브랜드 전략을 세울 때, 고객이 어떤 삶을 지향하는지를 가장 먼저 고민합니다. 브랜드의 존재 이유를
고객의 관점에서 다시 설계하는 것이죠.

덕다이버의 브랜딩은 단순한 BI나 슬로건 제작을 넘어, ‘왜 이 브랜드가 존재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찾는 과정입니다. 그 답이 분명해지면 이후의 마케팅, 콘텐츠, 채널 운영까지 자연스럽게 풀립니다.

브랜딩이 지향하는 철학과 메시지가 일관되려면, 결국 브랜드의 본질적인 이야기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브랜드 고유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업에 대한 이해와 강점을 날카롭게 다듬어, 소비자에게 단 하나의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는 것. 그것이 저희가 추구하는 브랜딩입니다.

 

Q. 프로젝트를 수주할 때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시나요?

저희는 항상 묻습니다. “이 브랜드는 왜 이 일을 해야 하나요?”

단순히 겉으로 멋져 보이는 캠페인을 위한 제안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브랜드의 방향성이 모호하거나,
소비자와의 접점이 얕다고 판단될 경우,
내부 브랜딩부터 정비하자고 제안드리기도 합니다.

덕다이버에는 브랜드 아키텍트, UX 디자이너, 콘텐츠 디렉터, 마케터, 데이터 분석가, 영상 PD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습니다. 평균 연령은 30대 초반이지만,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 경험을 가진 실력자들입니다.

덕다이버는 디지털과 콘텐츠에 대한 감각은 물론, 전략적 사고의 깊이도 함께 갖추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를 적극 활용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단순한 보조 수단이 아닌 ‘창의적 논의의 동반자’로서
AI를 바라보는 시도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Q. 덕다이버만의 차별화 포인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mazon, LG Chem, LS ELECTRIC, 슈나이더 일렉트릭 등
글로벌 브랜드들과 오랫동안 파트너십을 이어올 수 있었던 이유는 명확합니다.

무엇보다, 전문성을 갖춘 팀원들의 뛰어난 퍼포먼스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첫째, 브랜딩 전략과 콘텐츠 퍼포먼스 마케팅을 하나의 흐름으로 통합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이 있습니다.

둘째, 성과 중심 마케팅에서 ‘경험 중심 마케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차별점입니다.

셋째, 우리가 브랜드를 다룰 때는 언제나 진심으로 임한다는 자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덕다이버는 단기 성과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장기적인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는 일을 더 본질적인 가치로 삼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디더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전략을 지향합니다.

 

Q. 앞으로 덕다이버가 지향하는 목표는 무엇인가요?

덕다이버는 단순히 ‘잘하는 에이전시’가 아니라, 브랜드로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조직이 되고 싶습니다.

진정한 브랜드 전략은 결국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뜨거운 열정을 가진 조직이 더 높은 수준을 향한 열망을 품을 때,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생각합니다.

그 여정의 중심엔 언제나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용감한 브랜드가 세상을 바꿉니다.

Be Brave, We design your better future

 

#. 에디터의 코멘터리

인터뷰를 정리하며 가장 마음에 남은 문장은
“브랜드는 하고 싶은 말이 아니라, 사람들이 듣고 싶은 말이어야 한다”는 말이었습니다.

브랜드가 어떤 방식으로 말하고, 그 말에 어떤 태도를 담느냐는 것.
그 자체가 철학이자 전략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브랜드 전략은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덕다이버는 전략과 철학 사이를 유연하게 오가며,
브랜드가 어떤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팀입니다.

앞으로도 우리는 이런 태도와 마음을 담아,
브랜드와 조직, 그리고 그 곁에서 함께 고민해온 우리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콘텐츠를 전할 예정입니다.


Editor. 정희선 Chung hee sun

Photo. 이규백 Lee kyu baek